본문 바로가기
Practice nursing

간호 핵심 술기 - 정맥 수액 주입 -

by 예비간호사 2022. 12. 24.

이번 포스팅에서는 정맥 수액 주입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흔히 IV라고 이야기를 많이 합니다. 먼저 정맥 주입을 하는 목적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정맥 내 투여의 목적

- 수액공급을 통하여 신체의 수분, 영양, 전해질을 공급하기 위함입니다.

- 산, 염기 균형을 조절하기 위함입니다.

- 약물을 지속적으로 주입하기 위함입니다.

- 응급상태가 발생하는 경우 신속하게 약물을 투여하기 위함입니다. 정맥을 통하여 라인을 미리 확보해 둔다면, 응급상황에 바로 대처할 수 있고 약의 효과가 나타나는 시간이 빠릅니다.

- 항생제나 항암제, 수혈 등의 약물을 투여하기 위함입니다.

 

정맥 카테터와 수액세트의 교환시기

48~72시간마다 교환해주어야 합니다. 72시간 이상 한 곳에 카테터를 계속 유지할 경우 삽입부위에 부종이나 통증, 침윤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정맥주입속도 계산법

정맥주입속도에 대한 계산식이 있는데 식을 외워도 되고 하나만 외우겠다면 20 gtt에 1cc라는 것을 기억하면 됩니다. 계산식을 통하여 계산을 하기도 하지만 주로 처방 나는 패턴이 있기 때문에 패턴을 외워두는 것도 하나의 방법입니다.

 

< 시간당 주입용량으로 처방이 났을 때 >

20cc/hr -> 9초에 1방울

30cc/hr -> 6초에 1방울

40cc/hr -> 4.5초에 1방울

50cc/hr -> 3.6초에 1방울

60cc/hr -> 3초에 1방울

80cc/hr -> 2.3초에 1방울

 

< 분당 gtt로 처방이 났을 때 >

5 gtt -> 12초에 1방울, 1시간에 15cc

10 gtt -> 6초에 1방울, 1시간에 30cc

15 gtt -> 4초에 1방울, 1시간에 45cc

20 gtt -> 3초에 1방울, 1시간에 60cc

25 gtt -> 2.4초에 1방울, 1시간에 75cc

30 gtt -> 2초에 1방울, 1시간에 90cc

 

정맥수액주입의 부작용에 대한 간호와 예방

1. 침윤(infiltration)

피하조직으로 약물이 누출된 것을 말합니다. 주입부위를 확인하여 침윤이 생기면 주입을 멈추고 다른 부위에서 다시 시작합니다. 주사부위를 선정할 때 굴곡하는 관절 부위는 피해서 합니다.

 

2. 패혈증(sepsis)

카테터 삽입 부위를 통하여서 혈류로 미생물이 침투하여 감염이 발생한 것을 이야기합니다. 감염증상이 보인다면 즉시 보고하고 배액을 합니다. 패혈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약물 주입을 시작할 때 철저히 무균술을 유지하여야 합니다.

 

3. 체액 과부담(fluidoverload)

필요한 양보다 너무 많은 양이 인체 내로 들어가게 될 때 나타나게 됩니다. 많이 들어가게 되면 주입 속도를 낮추고 즉시 보고하며 활력징후를 세심하게 관찰합니다.

 

4. 정맥염(phlebitis)

수액 주입을 하고 있는 정맥에 염증이 생긴 것을 이야기합니다. 염증이 생긴다면 즉시 주입을 정지하고 따뜻한 습포를 통하여 가라앉혀 줍니다. 다른 부위에서 정맥 주입을 해야 하며 약물은 충분히 희석하여 사용합니다.

 

5. 쇼크(speed shock)

너무 빨리 용액이 주입되었을 때 나타나는 반응입니다. 즉시 주입을 중단하고 보고하여야 합니다. 증상이 괜찮아지면 활력징후를 세밀하게 관찰합니다.

 

6. 혈전(thrombus)

혈병이라고 하며 혈관 안의 피가 굳어 덩어리가 만들어진 것을 이야기합니다. 혈전이 형성되었을 때 즉시 주입을 중지합니다. 정맥염과 같이 간호를 하고 하지 정맥은 되도록 사용하지 않습니다.

 

적절한 정맥주사부위

1. 손등, 팔

중수정맥, 요 측 피정맥, 척측피정맥, 정중피정맥, 요골정맥

2. 손목

간호사의 세 손가락을 손목의 안쪽면에서 댔을 때 손가락이 닿은 부분이 적절합니다.

그 손목의 안쪽 면에서 위로 5cm 이내의 정맥은 신경 손상의 위험이 있기 때문에 피합니다.

 

수액주입에 적합한 정맥

- 다리의 정맥은 피합니다. 혈전증의 위험이 있기 때문입니다.

- 관절이 있어 굴곡이 되는 부위는 피합니다.

- 가장 잘 보이고 접근하기 쉬운 정맥을 선정합니다.

- 광범위 유방절제술을 받은 쪽이나 수술받은 부위의 정맥, 혈액투석환자의 동맥루, 정맥류가 있는 팔의 경우에는 금기입니다.

- 영아의 경우 두피정맥으로 주입할 수 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