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포스팅에서는 간호 핵심 술기 중에 피내 주사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피내주사를 하는 이유는 항생제가 환자에게 과민반응을 나타내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시행합니다. 피내주사를 통하여 항생제 과민반응 테스트를 제대로 하지 못하고 수술을 들어갔을 경우 아나필락시스 쇼크가 발생할 위험도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반드시 수술 전에 피내주사를 통하여 항생제 과민반응을 테스트해보아야 합니다.
피내주사 부위
피내주사는 ID라고도 부르며 이는 intradermal injection으로 피부의 표피 아래 진피에 희석한 항생제를 투여하여 반응검사를 합니다.
주사부위로는 전완 내측면(inner forearm), 견갑골(across scapula), 흉곽 상부(upper chest)입니다.
종류로는 알레르기 반응검사(AST, after skin test, antibiotics skin test)와 투베르쿨린 반응검사(TST, tuberculin skin test = Mantoux test + PPD)가 있습니다.
피내주사 결과 판독법 (AST)
먼저 skin test를 시행하는 항생제는 Penicillin, Cephalosporin, Carbapenem, Monobactam이 있습니다. 단, Cephalosporin은 Penicillin이나 Cephalosporin에 대한 과민반응의 과거력이 있는 경우에만 시행합니다.
테스트를 하는데 투여하는 용량은 0.02~0.05ml입니다.
항생제 테스트 후에 양성으로 의심된다면 대조액인 생리식염수를 투여하여 비교합니다.
약 15분 후에 판정을 하며 팽진직경이 10mm 이상이면서 발적이 있다면, 대조액 주사부위의 팽진직경과 비교합니다. 그래서 시험약 주사부위의 팽진직경이 3mm 이상 크다면 양성으로 판정할 수 있습니다.
피내주사 시 주의사항
약물을 용량에 맞게 잘 희석해야 합니다.
1cc 시린지로 약물을 뽑을 때 공기가 들어갈 경우 앰플에 바늘을 꽂은 채 천천히 약물을 뽑았다가 집어넣고를 몇 번 반복하면 정확한 용량을 잴 수 있습니다.
팔의 안쪽이 바깥쪽 보다 훨씬 아픕니다. 그렇기 때문에 팔의 너무 안쪽은 피해서 하는 것이 좋습니다.
'Practice nurs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핵심 간호 술기 - 활력징후 - (0) | 2022.12.24 |
---|---|
간호 핵심 술기 - 정맥 수액 주입 - (0) | 2022.12.24 |
대구 한영한마음아동병원 실습 후기 (0) | 2022.12.23 |
간호 핵심 술기 - 입원 관리 - (0) | 2022.12.21 |
간호 핵심 술기 - 수술 후 간호 - (0) | 2022.12.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