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Nursing9

호르몬의 종류와 기능2 뇌하수체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에 이어 갑상샘, 부갑상샘, 부신, 생식샘, 췌장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갑상샘(thyroid gland) 티록신(Thyroxine;T4) 모든 신체 기관에 작용하며 인체의 대사활동을 조절하는 역할을 합니다. 삼요 오드 티로닌(Triiodothyronine;T3) 주로 골격에 작용하며 부갑상샘 호르몬과 반대되는 작용을 합니다. 티 로칼 시 토닌(Thyrocalcitonin) 티록신과 다르게 대사작용은 하지 않습니다. 혈액 안의 칼슘과 인의 농도를 낮추는 역할을 합니다. 부갑상샘(parathyroid gland) 부갑상샘 호르몬(parathormone;PTH) 부갑상샘 호르몬은 혈청 칼슘과 인의 양을 조절하는 역할을 합니다. 골흡수를 증가시켜 혈청 칼슘을 증.. 2022. 12. 18.
호르몬의 종류와 기능1 호르몬은 우리 몸의 항상성을 유지하며 에너지를 만들고 영양분의 대사를 돕습니다. 신체적, 지적으로 성장과 발달을 할 수 있도록 도우면서 수분과 전해질의 균형을 이룰 수 있게 해주는 등 전반적으로 우리 몸의 기전들을 조절합니다. 이러한 호르몬의 종류는 무엇이며, 종류마다 어떤 기능을 하는지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호르몬이 분비되는 곳은 어디일까? 호르몬은 샘(gland)에서 분비됩니다. 인체의 샘은 외분비샘(exocrine gland)과 내분비샘(endocrine gland)으로 나뉠 수 있습니다. 외분비샘 : 관을 통하여 신체 내부, 피부에 분비물을 운반합니다. -> 예를 들어 땀샘, 췌장, 눈물샘 등이 있습니다. 내분비샘 : 관은 없지만 인체의 모든 부위에 작용할 수 있으며 표적세포에 영향을 줍니다... 2022. 12. 18.
조울증 양극성 장애 치료 약물 흔히 조울증이라고 알고 있는 증상의 정확한 진단명은 양극성 장애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 양극성 장애의 치료 약물과 약물 투여 시 주의사항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Lithium carbonate 리튬은 가장 널리 사용되는 기분 안정제입니다. 양극성 장애를 치료하는 데에도 리튬이 많이 사용됩니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리튬 투여로 인해 약 70% 정도의 환자가 증상이 완화되었다고 합니다. 하지만 이 약물이 양극성 장애의 모든 단계에 효과가 좋은 것은 아닙니다. 급성기일 때는 다른 약물과 병용해서 쓰기도 합니다. Lithium 투여 시 주의사항 리튬은 일종의 소금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혈중 리튬 농도와 혈액 간의 관계를 계속 보면서 투여해야 합니다. 양극성 장애의 증상이 급성기일 때는 단독으로 쓰는 것보다 항정신.. 2022. 12. 7.
조울증 양극성 장애에 대하여 흔히 우리가 우울증과 조증이 번갈아 나타나는 것을 조울증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 조울증이라고 하는 단어는 진단명은 아니고 조울 증상에 대한 것이고 진단명은 양극성 장애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 양극성 장애의 진단 기준과 증상 및 원인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양극성 장애의 종류 제 Ⅰ형 양극성 장애(Bipolar Ⅰ Disorders) : 조증(1주 이상) + 우울증 제 Ⅱ형 양극성 장애(Bipolar Ⅱ Disorders) : 경조증(4일 이상) + 우울증(2주 이상) 순환성 장애(cyclothymic disorder) : 가벼운 경조증 + 가벼운 우울증 -> 2년 이상 조울증이라고 알고 있는 양극성 장애는 그 깊이의 차이는 있지만 만성적인 장애입니다. 증상은 다양하며 예측하기 어렵기 때문에 세심.. 2022. 12.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