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ractice nursing

간호 핵심 술기 - 수술 전 간호 -

by 예비간호사 2022. 12. 19.

이번 포스팅에서 수술 전 간호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수술 전 간호로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수술 전 확인사항 및 합병증 예방 교육, 강화 폐활량계 사용법, 제모하는 방법에 대하여 다루어보겠습니다.

 

수술 전 확인사항 및 합병증 예방 교육

1. 수술 전 확인사항

  • 간호사 자신을 소개하고 대상자를 확인합니다.
  • 대상자가 수술동의서를 작성하였는지 확인하고 그 내용을 알고 있는지 확인합니다.
  • 수술로 인하여 불안이 있다면, 불안을 사정하고 불안 완화 간호를 실시합니다.
  • 수술 가기 전에는 미리 소변을 볼 수 있도록 교육하고 귀중품은 보관함이나 보호자가 보관하도록 합니다.
  • 삽관을 해야 하는 경우 흔들리는 치아가 있는지 꼭 물어봅니다.
  • 금속은 다 빼야 합니다. 수술 중에 화상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2. 수술 후 합병증 예방 교육

  • 전신마취를 시행할 경우 일반적으로 기도흡인이나 장폐색, 무기폐, 폐렴, 심부정맥 혈전증 등의 합병증이 올 수 있다고 설명해 줍니다.
  • 의사 선생님의 지시에 따라 정해진 시간 안에는 금식합니다. 금식을 하는 이유는 마취로 인하여 위 괄약근이 이완되었을 때 위 내용물이 역류하여 흡인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서입니다.
  • 수술 후에는 숨을 쉬기가 어렵고 폐포 또한 쪼그라들어서 분비물 배출이 어려울 수 있기 때문에 심호흡, 기침의 중요성과 강화 폐활량계 사용법을 알려줍니다.

 

강화 폐활량계 사용법

  1. 강화 폐활량계를 사용하는 이유에 대하여 설명하여 줍니다. -> 폐에 관련한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함입니다.
  2. 숨을 쉬기가 편하게 좌위나 반좌위를 취할 수 있도록 베드를 올려주거나 앉아달라고 합니다.
  3. 최대한 숨을 내쉰 후 호스를 입에 물고 최대한 깊게 숨을 들이마십니다.
  4. 최대로 들이마신 지점을 표시해두고 3~5초간 유지할 수 있도록 합니다.
  5. 1시간에 10분씩, 한 번에 5~10회 반복합니다. 과다 환기로 인하여 어지러움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주의합니다.

 

제모하는 방법

  1. 대상자의 사생활 보호를 위해 커튼을 칩니다.
  2. 먼저 민감성을 테스트하기 위하여 손목 안쪽이나 팔 부분에 소량을 바른 후 일정 시간 그대로 두고 피부 반응을 관찰합니다.
  3. 피부 반응 결과 이상이 없으면 수술 부위 제모를 시작합니다.
  4. 수술 부위 제모는 수술할 부위보다 좀 더 넓게 해주어야 합니다. 왜냐하면 감염을 예방하는 목적도 있고 수술 당시에 응급상황이 생길 경우 제모가 된 다른 부위로 시도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5. 필요하다면 샤워를 하시면 된다고 설명해 줍니다.

 

전반적인 프로토콜이 있지만 핵심 술기 수술 전 간호에 대하여 간략하게 다루어보았습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수술 후 간호를 다루어보겠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