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ursing9 당뇨, 인슐린 펌프 사용 시 주의사항 당뇨를 치료하기 위하여 인슐린을 직접 주입하기도 하고 경구용 혈당 강하제를 쓰기도 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인슐린 펌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인슐린 펌프는 무엇이고 작동원리와 주의사항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인슐린 펌프는 무엇일까? 인슐린 펌프는 복부 피하 조직에 직접 바늘을 삽입하여 연결하여 시간마다 인슐린을 주입하는 장치입니다. 피하 조직에 연결할 때 플라스틱 튜브를 통하여 고정시킵니다. 주로 초속효성, 속효성 인슐린을 지속적으로 투여합니다. 인슐린 펌프는 개인의 기초대사량에 맞게 정확한 용량을 투여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인슐린 펌프를 사용하는 동안 환자가 당뇨 식단을 잘 지키고 식전에 인슐린 투여 용량을 정확하게 하여야 합니다. 하루에 4~6회 혈당 수준을 확인하고 이 수치에 따라.. 2022. 11. 28. 당뇨 식단 관리 방법 당뇨병은 장기간 생활습관 관리를 꾸준히 해주어야 하는 만성 질환입니다. 그중에 식단 관리는 꼭 행해져야 할 만큼 중요한 부분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 당뇨를 앓는 경우에 식단은 어떻게 해야 하는지, 추천하는 음식과 피해야 하는 음식까지 알아보겠습니다. 당뇨 식단의 목표 할 수 있는 데까지 정상 혈당을 유지합니다. 혈관성 질환의 위험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콜레스테롤, LDL, HDL의 범위를 정상 범위를 유지합니다. 어린이나 청소년의 경우 성장발달에 문제가 되지 않도록 합니다. 목표하는 체중감량이 있다면 이루어냅니다. 지금부터 당뇨 환자에게 적합한 식단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탄수화물은 적당하게, 고섬유 식이를 하자 탄수화물이 적절하고 고섬유 식이는 인슐린의 민감성을 증가시켜 혈당 조절에 도움이 됩니다. 그.. 2022. 11. 27. 당뇨 수치 기준과 검사 방법 당뇨병은 병원에서만 치료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관점에서 다학제적으로 협조하여 치료해야 하는 대표적인 질환입니다. 그중에 가장 첫 번째로 중요한 치료자 역할은 환자 스스로가 해야 합니다. 당뇨는 만성 질환이기 때문에 환자 스스로가 질환에 대해 인식하고 꾸준히 정신, 생활적인 면에서 관리를 해주어야 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당뇨라고 정의 내릴 수 있는 수치 기준과 검사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당뇨 진단 기준 공복 혈당 126mg/dL 이상 고혈당의 증상(다뇨, 다음, 원인모를 체중감소 등) 마지막 식사와 관련 없이 임의 혈당 200mg/dL 이상 75g 경구 당부하 검사(OGTT) 후 2시간 혈당 200mg/dL 이상 당화혈색소(HbA1c) 6.5% 이상 위의 기준에 해당한다면 당뇨라고 진.. 2022. 11. 27. 당뇨 증상 당뇨는 인슐린의 분비가 저하되거나 인슐린이 제대로 기능하지 못하여 생긴 고혈당 상태를 이야기합니다. 췌장의 베타세포에서 인슐린이 분비됩니다. 인슐린은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의 대사와 저장을 조절합니다. 이러한 인슐린이 제대로 적용되지 못할 경우에 신체의 에너지 대사에 문제가 생기게 됩니다. 인슐린은 포도당을 세포 내로 이동시키며 아미노산이 근육 막을 통과하게 해 줍니다. 또한 아미노산을 단백질로 합성하는 역할을 합니다. 그러므로 인슐린이 결핍된다면 포도당 이용이 감소하며 지방과 단백질의 이용이 증가하게 됩니다. 포도당 이용이 감소합니다. 인슐린은 혈액 내의 포도당을 글리코겐 형태로 간에 저장하는 역할을 합니다. 인슐린이 필요하지 않은 세포도 있지만 골격근이나 심장, 지방 조직은 포도당을 이동시키기 위하.. 2022. 11. 26.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