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Nursing

당뇨 증상

by 예비간호사 2022. 11. 26.

당뇨는 인슐린의 분비가 저하되거나 인슐린이 제대로 기능하지 못하여 생긴 고혈당 상태를 이야기합니다. 췌장의 베타세포에서 인슐린이 분비됩니다. 인슐린은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의 대사와 저장을 조절합니다. 이러한 인슐린이 제대로 적용되지 못할 경우에 신체의 에너지 대사에 문제가 생기게 됩니다. 인슐린은 포도당을 세포 내로 이동시키며 아미노산이 근육 막을 통과하게 해 줍니다. 또한 아미노산을 단백질로 합성하는 역할을 합니다. 그러므로 인슐린이 결핍된다면 포도당 이용이 감소하며 지방과 단백질의 이용이 증가하게 됩니다.


포도당 이용이 감소합니다.

인슐린은 혈액 내의 포도당을 글리코겐 형태로 간에 저장하는 역할을 합니다. 인슐린이 필요하지 않은 세포도 있지만 골격근이나 심장, 지방 조직은 포도당을 이동시키기 위하여 인슐린을 필요로 합니다. 인슐린이 부족하다면 포도당은 혈액 내에서 세포로 이동하지 못하고 계속 남아 있어 고혈당이 됩니다. 간에 포도당을 글리코겐 형태로 저장할 수도 없습니다.

우리 몸은 정상 수준을 유지하려는 기능이 있기 때문에 고혈당 상태가 된다면 콩팥은 혈당을 낮추기 위하여 포도당을 과량으로 배설하게 됩니다. 그로 인하여 소변에서 당이 나오게 됩니다. 이로 인해 혈액의 삼투압이 높아져 세포의 탈수 또한 초래할 수 있습니다.

 

지방 이용이 증가합니다.

지방은 좋은 에너지원입니다. 우리 몸은 포도당을 에너지로 이용할 수 없을 때 지방을 이용하게 됩니다. 지방을 대사 할 때는 케톤이라는 대사산물이 생깁니다. 케톤은 혈액 내에 축적이 되고 이를 콩팥과 폐를 통하여 배설합니다. 그래서 케톤 혈증, 케톤뇨증이 생길 수 있습니다. 축척된 케톤은 수소이온을 생성함으로 대사성 산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몸에 산이 많기 때문에 산을 배출하기 위하여 우리 몸은 호흡의 횟수를 늘리고 깊은 호흡을 하게 됩니다. 케톤이 배설되면서 나트륨 또한 배설되기 때문에 나트륨 결핍이 올 수 있습니다.

 

단백질 이용이 증가합니다.

인슐린은 아미노산을 단백질로 합성합니다. 하지만 인슐린이 부족하다면 단백질 합성 작용이 제대로 되지 않아 오히려 분해가 많이 됩니다. 그래서 간에서 아미노산이 포도당을 전환됩니다. 단백질 합성이 잘 되지 않아 당뇨 환자는 근육이 줄어 체중이 감소할 수 있습니다.

 


당뇨의 대표적인 증상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다뇨, 다음, 다식, 체중감소, 피로

이 외에도 당뇨의 증상은 다양하지만 대표적인 증상입니다.

다뇨는 혈당이 증가하여 소변 배설량은 많지만 흡수가 그만큼 되지 않아 소변을 자주 보게 됩니다.

몸에 수분이 빠져나감으로 인하여 탈수를 초래하게 되어 갈증을 느끼고 그로 인해 물을 많이 마시게 됩니다.

대사가 잘 이루어지지 않고 조직이 파괴되고 소모되기 때문에 허기짐을 느끼고 많이 먹게 됩니다.

포도당을 에너지로 써야 하는데 그렇지 못하기 때문에 지방과 단백질의 이용으로 체중이 감소할 수 있습니다.

또한 피로를 자주 느낄 수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시야가 흐려지거나 다리에 통증이 생길 수 있습니다. 특히 노인의 경우에는 위의 증상들이 나이가 들어서 있는 거겠지 하고 넘어가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당뇨병은 바로 증상이 나타나지 않고 평균 6년 반이 지난 후에 진단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위험요인이 있다면 미리 예방하는 것이 최선의 방법입니다.

 

'Nurs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울증 양극성 장애에 대하여  (0) 2022.12.06
당뇨, 인슐린 펌프 사용 시 주의사항  (0) 2022.11.28
당뇨 식단 관리 방법  (1) 2022.11.27
당뇨 수치 기준과 검사 방법  (0) 2022.11.27
당뇨 원인과 종류  (0) 2022.11.26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