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Nursing

당뇨 수치 기준과 검사 방법

by 예비간호사 2022. 11. 27.

당뇨병은 병원에서만 치료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관점에서 다학제적으로 협조하여 치료해야 하는 대표적인 질환입니다. 그중에 가장 첫 번째로 중요한 치료자 역할은 환자 스스로가 해야 합니다. 당뇨는 만성 질환이기 때문에 환자 스스로가 질환에 대해 인식하고 꾸준히 정신, 생활적인 면에서 관리를 해주어야 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당뇨라고 정의 내릴 수 있는 수치 기준과 검사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당뇨 진단 기준

  • 공복 혈당 126mg/dL 이상
  • 고혈당의 증상(다뇨, 다음, 원인모를 체중감소 등)
  • 마지막 식사와 관련 없이 임의 혈당 200mg/dL 이상
  • 75g 경구 당부하 검사(OGTT) 후 2시간 혈당 200mg/dL 이상
  • 당화혈색소(HbA1c) 6.5% 이상

위의 기준에 해당한다면 당뇨라고 진단 내릴 수 있습니다. 그럼 당뇨라고 진단 내릴 수 있는 검사 방법과 그 수치 및 정상 수치까지 알아보겠습니다.

 


혈당검사

혈당의 농도 수치로 당뇨를 진단할 수 있습니다. 이때 당뇨가 아닌 다른 원인에 의한 고혈당과는 구별해야 합니다.

 

  1. 공복혈당 (FPG) : 8시간 동안 수분을 제외한 금식 상태에서 검사하는 방법입니다. 이때 정맥으로 포도당을 투여하고 있다면 결과가 정확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수액은 멈춘 상태에서 검사해야 합니다. 정상 공복 혈당은 100mg/dL 미만이며, 당뇨병 진단 전 공복 혈당이 100~125mg/dL인 경우 공복혈당장애로 진단할 수 있습니다.
  2. 식후 2시간 혈당 (2 PPBS) : 식후 2시간이 되는 시간에 혈당을 검사하는 방법입니다. 정상인 경우 80~100mg/dL입니다.
  3. 경구 당부하 검사 (OGTT) : 포도당을 섭취한 후에 혈당이 정상으로 돌아오는 시간을 측정하는 방법입니다. 아침 공복 상태에서 혈액을 채취해두고 75g의 포도당을 물에 타서 마신 다음 30분, 60분, 90분 간격으로 혈액을 채취하여 검사합니다. 경구 당부하 검사 2시간 후 정상 혈당은 140mg/dL 미만입니다. 하지만 140~199mg/dL라면 내당능장애로 볼 수 있습니다.
  4. 자가혈당검사 : 스스로 혈당을 측정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서는 제조회사별로 제시하는 기준을 꼼꼼히 확인하여야 합니다.

-> 혈당검사로 당뇨병을 진단하기 위해서는 공복혈당이 126mg/dL 이상이거나 경구 당부하 검사 2시간 후 혈당이 200mg/dL이상이어야 합니다.

 

 

당화혈색소

당화혈색소는 약 2~3개월 동안 혈당의 평균치를 알 수 있는 지표입니다.

당화혈색소는 포도당이 적혈구의 혈색소에 결합이 된 것을 말합니다. 당화혈색소 수치가 높다면 그만큼 혈액에 당이 많기 때문에 당뇨의 진단 기준으로 볼 수 있습니다.

정상 당화혈색소의 수치는 4~6% 를 기준으로 하고 있고 6.5% 이상이 된다면 당뇨병으로 보고 있습니다.

 

 

당화 알부민

당화 알부민은 당화혈색소 보다 단기간의 변화를 나타낼 수 있는 지표입니다. 2~3주 정도의 혈당의 변화를 반영하는 그래프로서 주로 빈혈을 알아보기에 좋습니다. 정상치는 205~285입니다.

 

C-펩티드

C-펩티드는 인슐린의 전구물질이며 연결고리의 역할을 합니다. C-펩티드는 췌장의 베타 세포에서 인슐린 생성 수준을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C-펩티드의 저하는 1형 당뇨를 진단할 수 있는 지표가 됩니다. 수집은 24시간 소변을 통하여합니다.

 

인슐린, 인슐린 자가항체

혈중 인슐린 농도를 검사하여 인슐린 의존 당뇨병인지 인슐린 비의존 당뇨병인지 구별하기 위해서 쓰는 검사 방법입니다. 인슐린 자가항체가 있는 경우에 인슐린 의존 당뇨병으로 진단합니다.

 

요 케톤

당뇨병이 생기면 신체는 포도당 대신에 지방과 단백질을 에너지로 쓰게 됩니다. 우리 몸은 지방을 에너지원으로 쓰면서 케톤이라는 대사물질을 생성하게 됩니다. 이때 소변 내에 케톤이 있는지 검사하는 방법입니다.

 

 

이상으로 당뇨 수치와 검사 방법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당뇨는 당뇨병 자체뿐만 아니라 다양한 합병증까지 가지고 올 수 있는 질환입니다. 당뇨 수치를 알고 혈당 수치를 점차 낮출 수 있는 식이나 약물, 운동 요법에 대해서는 다음 포스팅에 이어하겠습니다.

'Nurs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울증 양극성 장애에 대하여  (0) 2022.12.06
당뇨, 인슐린 펌프 사용 시 주의사항  (0) 2022.11.28
당뇨 식단 관리 방법  (1) 2022.11.27
당뇨 증상  (0) 2022.11.26
당뇨 원인과 종류  (0) 2022.11.26

댓글